① 근로자들의 육체적, 정신적, 사회적 건강을 고도로 유지 증진한다.
② 산업장의 작업 조건이 근로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(질병 예방).
③ 건강에 유해한 취업을 방지하고, 건강의 유해인자에 폭로되지 않도록 한다.
④ 신체적, 정신적으로 적성에 맞는 작업환경에 배치한다.
① 노동과 노동조건으로 일어날 수 있는 건강장해로부터의 근로자의 보호, 직업성 질병 예방
② 채용 시 적성배치에 기여하여 작업능률을 발휘하며 노동의 재생산성을 확보
③ 근로자의 정신적, 육체적 안녕의 상태를 최대한으로 유지, 증진시키는데 기여
산업보건의 제도적 발달
1953년 | 산업보건 법령인 근로기준법 제정, 1962년 시행령 제정 |
---|---|
산업보건 관련 행정기관 : 보건사회부 내 노동국 → 노동청으로 독립(1963) → 노동부로 승격(1980) → 산업안전보건을 위한 국, 과가 신설(1989) | |
1981년 | 산업안전보건법 제정 |
1990년 |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|
산업보건의 실무적 발달
1956년 | 대한석탄공사에서의 광산 근로자와 작업환경에 대한 조사연구가 산업보건의 시작 |
---|---|
1962년 | 가톨릭의대 내 산업의학연구소 설립 (작업환경조사와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) |
1963년 | 사업장 보건관리자와 요원들에 대한 산업보건교육이 실시, 산업간호사 배치 시작 대한산업보건협회 창립 |
1964년 | 정부 주관의 산업재해보상제도 시작 최초의 가톨릭의대에 산재병원 설립 (1971) |
1970년대 | 대한산업보건협회에서 공단지대에 산업보건 서비스 센터 설립 정부에 의한 산재보상보험 기금으로 근로복지공사 발족 (1977) 직장의료보험제도 실시 (1977) |
1987년 | 정부기구로 전국 조직망을 지닌 한국산업안전공단 설립 |
1988년 | 산업의학회 설립 |
1990년 | 산업위생학회 설립 |
1991년 | 산업간호학회 설립 |
1994년 | 산업간호사회가 한국산업간호협회로 발족 |
1) 종류
① 사업장내 선임된 보건관리자가 근로자에게 산업보건 서비스를 제공
② 보건관리 위탁제도(보건관리 대행사업)
- 보건관리자를 전임으로 두지 못하는 사업장에 산업보건 전문인력(산업의학 전공의사, 산업간호사, 산업위생관리기사가
팀으로 접근하는 것이 원칙)을 파견
2) 내용
작업환경과 작업관리, 근로자 건강관리, 건강상담과 건강증진, 보건교육, 응급처치, 보건행정관리 등
3) 수행방법
작업장 순회 점검지도, 작업환경 측정결과 사후관리지도, 건강진단 실시결과 사후관리 지도, 건강상담, 환경위생관리, 보호구의 선정 및 점검,
작업상 적절한 보호구의 착용지도, 근로자 및 관리자의 보건교육, 작업 방법의 지도, 직업병 발생 원인조사 및 대책수립, 산업보건위원회의 참석, 산업보건정보 관리 등